7시간 전
안제이 미다가 미국이 AI 경쟁에서 반드시 승리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핵심 이유는 무엇인가요?
마크 안드레센은 왜 중국의 AI 부상을 '스푸트니크 순간'에 비유했나요?
안제이 미다가 AI가 주권의 다음 전선이라는 의미는 무엇인가요?

출처: 언블록미디어
- "우리는 승리해야 한다."라고 주장한 안제이 미다
- 성장과 혁신을 위한 AI 개발 우선 강조
[Unblock Media] "우리는 승리해야 한다." 실리콘밸리 벤처 기업 안드레센 호로위츠(Andreessen Horowitz, a16z)의 제너럴 파트너 안제이 미다(Anjney Midha)가 글로벌 인공지능(AI) 경쟁에서 미국이 결코 뒤처져서는 안 된다는 긴박한 메시지를 전달했다.
세마포르의 세계 경제 정상 회담에서 미다는 미국의 기술 기업들이 규제보다는 성장과 혁신에 우선순위를 두고, AI 시스템의 잠재적인 오용에 대한 증가하는 우려에도 불구하고 개발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세계의 사람들이 최고라는 조건하에 미국의 AI 도구를 사용할 것이다. 이것이 인도에서 10억 명이 여전히 실리콘밸리에서 개발된 WhatsApp을 사용하는 이유다." 미다는 이렇게 언급했다.
미다의 발언은 중국에서 자원이 제한된 상황에서도 미국의 대형 언어 모델과 경쟁하는 인공지능 플랫폼 ‘딥시크(DeepSeek)’의 예상치 못한 부상에 따른 것이다.
안드레센(A16z)의 공동설립자인 마크 안드레센(Marc Andreessen)은 이를 1957년 소련의 인공위성 발사가 미국을 충격에 빠뜨리며 미국이 우주 프로그램을 가속하는 계기가 된 ‘스푸트니크 순간’에 비유했다. 미다에게 이 순간은 미국 혁신가들에게 빠른 속도가 망설임보다 중요하다는 ‘경각심’을 주는 계기다.
"서구에서 자발적으로 자신을 늦출 생각이라면 마음대로 하라. 그러나 우리는 결코 속도를 늦추지 않을 것이다." 중국 AI 개발자에 대해 미다는 이렇게 말했다.
미다는 또한 더 넓은 지정학적 및 문화적 맥락을 지적하며, AI는 변혁적인 기술일 뿐만 아니라 세계의 가치와 문화 규범을 형성하는 힘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모든 국가가 자신의 AI 기반 시설을 구축하고 통제하고 싶어 할 것이며, AI를 주권의 다음 전선으로 제시했다.
"고유한 기반 시설을 운영하여 AI를 통제하고자 하는 국가는 모든 나라다." 미다는 이렇게 덧붙였다.
미다의 발언은 미국 정책 입안자들과 업계 리더들 사이에 퍼지고 있는 중국의 AI 급속한 발전이 현재 기술 균형을 교란할 수 있다는 우려를 반영하고 있다. 안전 및 규제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면서, 미다와 같은 목소리는 신중한 지연보다는 적극적인 혁신을 점점 더 강조하고 있다.
그의 핵심 메시지는 분명했다: AI 경쟁은 단순히 더 똑똑한 모델을 구축하는 것이 아니라, 경제, 거버넌스 및 일상 생활을 재정의할 기술의 행동 규칙을 설정하는 것이다.
최신소식을 메일로 받아보세요.